Grad Schools I

매년 이맘때부터 연말정도까지 저희 Educhora에서는 대학 진학 지도와 원서 준비로 바쁜데요. 그와 같은 시기에 저희가 돕는 분들이 또 있습니다. 수적으로는 대학지원생보다 적지만, 큰 보람을 느끼고 다른 곳에서는 보기 힘든 program이죠. 바로 대학원 진학 준비 program입니다. 대학교를 고르고 준비하는 것과 비슷한 부분이 있지만 다른 부분도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과 다음 시간에 대학원 준비에 관해 같이 말씀을 나눌까 합니다.

Harvard Business School Graduation

Harvard Business School Graduation

요즘은 거의 다 대학교육을 받으셔서 그런지 대학졸업장만 가지고서는 한국인들이 많이 거론하시는 스펙에 예전만큼 도움이 되지 않는 듯하죠? 그래서 대학원을 가시기도 하지만, 또 현대사회가 점점 더 세분화하고 전문성이 대두되다보니 대학 후에 더 교육과 training을 받아야 원하는 분야에서 제대로 일을 할 수 있기도 합니다. 또 경제사정이 좋지 않을수록 대학 졸업자 중에서 대학원에 진학하는 비율이 높아진다고 하는데요. 한국에서는 이런 현상이 대학 졸업반 학생들에게 나타나죠? 취업 전까지는 졸업을 늦추기도 한다고 합니다. 미국에는 대학원을 가는 것으로 취업을 늦추기도 하는 것이죠.

대학원, 하면 요즘 바로 떠오르는 것은 medical school, law school, business school 등으로 대표되는 전문대학원일텐데요. Professional schools, 말 그대로 직업을 염두에 두고 그에 필요한 기술이나 지식을 배우는 곳입니다. 여기를 가시려면 입학시험이 있는데, MCAT, LSAT, GMAT 등으로, 대학입학을 위한 SAT에 비교할 수 있겠죠? 사실 그 외에도 대학원의 종류는 많은데요. 저희도 진학지도를 할때 저희의 지인 중에서 이런 다양한 종류의 대학원을 나온 사람들로부터 도움을 받고 있기도 하고요. Harvard의 예를 들자면 Divinity School, School of D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Arts and Sciences, School of Design, School of Education, School of Public Health, Kennedy School of Government 등이 있습니다. 즉 대학의 연장선에 있는 대학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전문직 종사자를 양성하는 전문대학원과, 학문을 더 깊이 배우고 연구하는 법을 익히는 graduate school이 되겠습니다. 대학원에 따라, 대학을 졸업하고 나서 조금 시간을 둔 후에 시작해고 되고, 그러는 것이 어찌보면 더 권장할만한 곳도 있고, 대학을 졸업하고 바로 들어가는 것이 대부분인 곳도 있는데요, 의대와 법대가 이 후자에 속하겠죠.

그리고 이런 전문대학원의 입학준비는 대부분 대학입학과 비슷한 성격이라고 하겠습니다. 대학성적과 입학시험 점수가 중요하죠. 역시 학부와 비슷하게 전문대학원을 전체적으로 봐서 순위를 매기다보니 비교적 자신이 갈 수 있는 학교가 뭔지 아는 것이 수월합니다.

의대인 경우 올해 기준 1위는 Harvard고요, 다음은 Stanford, Johns Hopkins,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Francisco, U Penn, St. Louis에 있는 Washington University, Yale, Columbia, Duke 순입니다. 이런 학교에 합격하는 사람 GPA 중간치가 3.8에서 3.9, MCAT 점수도 45점 만점에 36점 정도로 top 1, 2%이어야 합니다. 그게 중간 사람이 그렇다는 말이죠. 보통 시험응시자 전체중에서 상위 15%정도에 들면 중간정도의 학교에 갈 수 있습니다. 내년에는 새 MCAT이 도입되어서 지금 대학 3학년인 사람부터 적용되는데요, 만점이 528점이 되고, 현재 세 sections에서 넷으로 늘어납니다. 

보통 4년과정인 것은 다 알고 계시겠지만, 여기에도 options이 있습니다. 하나는 의학박사학위 중간에 다른 박사학위를 따는 과정인데요. 말만 들어도 무시무시하죠? 다른 박사는 보통 과학이지만 수학, 심리학, 경제, 공학을 택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굉장히 오래 공부하셔야 하고요, 졸업 후에는 직접 환자를 상대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연구 계통에 종사하게 됩니다. 

또 하나는 Harvard 등에서 New Pathway라고 불리는 program으로 의대를 5년만에 졸업하는 과정입니다. 중간에 1년 공부를 더 하거나, 연구를 하거나, 연관된 분야에서 석사학위를 따고 싶은 사람이 택하는 방법인데요. 제 지인 중 하나는 Harvard 의대에서 전공분야를 결정하기 전에 이 1년을 수업을 듣지 않고 연구소에서 일을 했는데요. 그 친구의 말에 의하면 자기의 성적으로는 어떤 전공분야에 뽑히고도 남는데 정작 자기가 하고 싶은 분야는 특정한 연령대와 관계된 분야로, 자기 성적만큼 좋지 않아도 충분히 들어갈 수 있어서, 둘 중에서 뭘 택할지 고민이었다고요. 그래서 그 상대적으로 들어가기 쉬운 분야쪽의 연구소에서 경험을 쌓아보니 정말 좋더라는 겁니다. 그러나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은 왜 더 좋은 분야를 갈 수 있는데...라고 말을 많이 했겠죠. 그래서 결국은 그 특정 연령대를 상대하는 첫번째 분야로 전공을 좁혔습니다.

법대 순위를 알아보면, Yale, Harvard, Stanford, Columbia, U of Chicago, NYU, U Penn, UVA, UC Berkeley, Duke, U Michigan--Ann Arbor 순입니다. 이 top ten 법대에 가시려면 LSAT은 상위 1%에서 4%에 들어야 하고요, 점수로는 180점 만점에 168에서 173정도가 되겠습니다. GPA는 1위인 Yale의 경우 중간치가 3.9인데요, 정말 대단하죠. 그리고 법대는 의대보다 어떤 면에서는 더 명확하지만 어떤 면에서는 좀 너무 차가울 정도로, 등급이 딱 정해져있고요, 미국 내의 법학대학원을 보통 네 개의 등급으로 나누는데, tiers라고 하죠. 각 tier에 50개 정도의 학교가 있는데요, Tier 1의 중간인 25위 학교는 합격률이 거의 4:1인데, 합격한 사람들 중에서 중간 수치를 보시면 GPA가 3.6점대이고, LSAT 점수로는 전체에서 상위 10%정도에 드는 160점대 중반입니다. 

제가 아는 Harvard 동문 중에서 법대와 관련해서 범상치 않은 스펙을 쌓은 사람을 셋이 있습니다. 한 사람은 비교문학 박사학위를 끝내고 2-3년 후에 다른 학교 법대를 또 갔습니다. 지금 법률계통에서 일을 하고 있죠. 두 번째 사람은 Harvard에서 법대를 졸업하고 몇년 후에 다른 대학 인문학 대학원에 또 들어가서 Ph.D.를 땄는데, 이 경우 학부 전공을 되살린 것으로, 지금 그 계통에 종사하고 법은 전혀 관계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Harvard에 법대에는 또 joint degree program이 있어서 Harvard의 다른 전문대학원에서 석사를 동시에 따도록 하는 것인데요, 공공정책 대학원이나 공중보건 대학원, 도시계획 대학원도 해당이 되지만, 제 지인은 법대와 경영대학원을 동시에 다녔습니다. 

이런 대학원에 가려고 학부전공을 꼭 premed나 pre-law로 하지 않아도 됩니다. 물론 대다수의 의대 지원자가 생물이나 화학을 전공하지만, 학부에서 영문과를 하고 Harvard Medical School에 다닌 사람도 제 지인이고, 법대인 경우 다른 분야의 지식이 있는 것이 더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좋아하는 공부를 해서 점수를 잘 받는 것이 중요하겠죠.

Keira Knightley performs "Lost Stars" from the 'Begin Again' soundtrack, now available: http://smarturl.it/BeginAgainMusic Cover the song for a chance to win a copy of the soundtrack signed by Adam Levine: http://smarturl.it/LostStarsCovers Connect with Begin Again: Official - http://BeginAgainFilm.com Facebook - http://facebook.com/BeginAgainMovie Official Trailer: http://youtu.be/mKaIJTIXZVw Connect with Interscope: Official - http://www.interscope.com YouTube - http://www.youtube.com/interscope Facebook - http://www.facebook.com/interscope Twitter - http://twitter.com/interscope Instagram - http://instagram.com/interscope

khora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