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laws

한국어의 관용 표현 중에 “사돈의 팔촌”이라는 말이 있죠. 영어를 사용하다 보면 이런 표현을 쓰고 싶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 고민이라는 말씀을 종종 듣습니다. 우선 이게 관용구이다보니 이 표현을 말 그대로 번역한다고 그 뜻이 전달되는 게 아니기 때문이고요. 이건 모든 관용 표현에 해당하는 이유겠죠. 그리고 또 이유가 있는데, 이 표현인 경우에는 말 그대로 번역하는 것조차도 힘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희 Educhora에서 한국문화를 홍보하거나 교육할 때 더 신경을 쓰게 되는데요. 한국에 대해 관심이 많아서 어느정도 한국문화를 아는 사람에게는 보통 문화적인 요소에 대해 설명을 하면 이해를 잘 하는 편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사돈, 팔촌 같은 개념이 나오면 정말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한데요.

Family with In-Laws. Source: OnlyYouForever

Family with In-Laws. Source: OnlyYouForever

이번주와 다음주에는 영어로 이 표현과 비슷한 말이 있나 알아보면서 같이 미국사람들이 생각하는 가족관계, 친척 관계에 대해 말씀을 나누겠습니다. 우선 사돈이라고 하면 바로 in-law라고 떠올리실 분이 많이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정확하진 않지만 틀린 말도 아닙니다. 결혼으로 인해 이루어진 관계를 in-law라고 표현하는데요. 우선 한국과의 큰 차이점은 남자가 부르는 말과 여자가 부르는 말의 구분이 없다는 거죠. 시어머님과 장모님이 다 mother-in-law이고요, 마찬가지로 장인과 시아버지도 father-in-law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배우자의 부모님은 그냥 in-laws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My in-laws are visiting next week.”하면 다음주에 우리 시부모님이, 또는 장인장모님이 다니러 오신다는 말로 이해를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in-law라는 말을 쓸 수 있는 관계가 하나 더 있는데요. 한국에서는 여러가지 말로 표현이 되는 brother-in-law와 sister-in-law입니다. 내 배우자의 형제자매에게도 이 말을 쓸 수 있고요, 또 내 형제자매의 배우자도 이렇게 부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아래의 구분이 없죠. 또 그 사람이 결혼을 했느냐 안했느냐도 따지지 않고요. 그러니까 한국어로 형수, 시누이, 올케, 처제, 처형, 계수 등이 다 이 sister-in-law라는 한 말로 번역이 되고요. 또 시동생, 시숙, 매형, 매제, 처남, 형부, 등등이 다 brother-in-law가 됩니다. 

그리고 아시다시피 사위 며느리는 son-in-law, daughter-in-law가 되죠. 이정도가 미국 사람들이 평소에 in-law라는 말을 쓰는 관걔의 범위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다른 관계에도 이 말을 붙일 수 있겠죠. 예를 들면 내 배우자의 조카, 시조카나 처조카라고 하나요? 이것은 엄밀히 말하면 niece-in-law나 nephew-in-law가 됩니다만, 저는 주위에서 이렇게 딱 구별을 해서 부르는 것을 본 적이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그 반대방향도 마찬가지입니다. 나와 삼촌의 관계가 되는 사람, 즉 큰아버지, 작은 아버지, 외숙, 고모, 이모 등을 다 uncle이나 aunt라는 말로 부르는데요. 이분들의 배우자, 즉 큰어머니, 작은 어머니, 외숙모, 고모부, 이모부 등도 똑같이 uncle, aunt라고 부릅니다. 한국인으로서는 조금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일 수 있는데요. 그런가보다라고 이해가 되더라도 답답하기는 하죠. 한국식의 가족관계 정리법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친구가 예를 들어서 자기 사촌 Lisa의 부모는 Uncle Steve와 Aunt Mary이다라고 말을 할 경우에, 그 중에 누가 혈육이고 누가 사돈인가 궁금해지거든요. 그래서 물어볼 수 있겠죠. 영어로 혈육은 blood relative 즉 혈연관계에 있는 사람이니까, 그중 누가 blood relative냐고 물을 수가 있는데요. 여기서 놀라운 점은 이런 질문을 했을 경우 바로 응, 이쪽이 나와 피를 나눈 사람이다,라고 대답하는 사람이 많지 않고요, 대부분 그 질문을 이해하는데 시간이 걸린다는 거죠. 그리고 예를 들어 aunt-in-law라고 하면 나와 삼촌의 아내라기 보다는 내 배우자의 이모 고모등을 떠올리는 경우가 사실은 더 많습니다. 그래서 이중으로 더 혼란스럽기도 하죠.

이렇게 혈연관계에 있는 친척과 결혼으로 생긴 친척을 거의 비슷하게 생각하는 듯한 걸 보면 미국사람이 굉장히 포용력이 크거나 정이 많나보다,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겠습니다. 물론 그런 분들도 있지만, 그와 반대인 경우도 있습니다. 즉 내 혈육을 그리 가깝거나 특별하게 여기지 않기 때문에, 피가 섞이지 않은 친척과 비슷한 정도로 생각하는 거죠.

그래서 in-law라는 말을 평소에 쓰지는 않아도 용어는 다 존재합니다. 그래서 관계를 명확히 밝혀야 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데요. Cousin-in-law, grandmother-in-law 등등 다 있기는 합니다. 그러나 이마저도 in-law라고 하기보다는 “by marriage”라는 말을 더 자주 쓰는 것 같아요. 예를 들면 “Anne is my cousin by marriage.”라고 하면 내 배우자의 사촌이거나 내 사촌의 배우자라는 뜻으로 해석하시면 되겠죠.

그럼 in-law라는 말을 한국에서 쓰는 사돈이라는 뜻으로 쓸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서 내 형제자매의 아이, 즉 피를 나눈 조카가 있는 경우, 그 조카는 나에게 uncle이나 aunt라고 하겠죠. 그리고 내 형제자매의 배우자의 형제자매도 조카에게는 똑같이 uncle, aunt가 되는 거죠. 그리고 그 분들은 나에게는 사돈댁분들이 되는 건데요. 또는 부부의 양쪽 부모님, 즉 친할아버지/할머니, 외할아버지/할머니는 서로 사돈인데 무슨 관계인지 궁금하시죠? 그냥 in-law라고 하면 좀 이상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그 앞에 co-를 붙입니다. 그래서 아까처럼 예를 들어서 어린이의 이모와 고모인 경우 그 사람들은 영어로 co-aunts-in-law가 됩니다. 친할머니와 외할머니는 co-grandmothers-in-law가 되는 거고요. 그리고 이 co-자가 들어가는 관계가 하나 더 있습니다. co-brother-in-law나 co-sister-in-law는 무슨 뜻일까요? 동서라는 뜻입니다. 즉 co-brothers-in-law는 그 분들의 부인들이 자매라는 거죠. 그러나 이런 말은 평소에 쓰는 사람은 전혀 없다고 보시면 되고요, 이런 말이 있다는 걸 아는 분도 아마 거의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런 말을 듣고 설명을 들어도 무슨 관계인지 감이 오지 않는 미국인이 대부분일 겁니다. 그러나 한국사람은 바로 알 수 있죠. 

그럼 미국사람들은 이런 호칭이 있는데도 쓰지 않으면 어떻게 친척들을 지칭할까요? 그냥 관계를 죽 늘여서 설명을 합니다. 예를 들어 친할머니, 외할머니는 paternal grandmother, maternal grandmother라는 말이 있지만, 당연히 대부분 그냥 grandmother라고 하고, 어느쪽인지 밝혀야 할 경우에도 my mom’s mom, my dad’s mom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시간에는 촌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노래는 the Beatles의 “Your Mother Should Know”를 추천합니다.

This is an alternate version of the song not published on THE MAGICAL MYSTERY TOUR.@1967 . NO COPY WRITE INFRINGEMENTS USE INTENDED.The Copyright Act of 1976 is a United States copyright law and remains the primary basis of copyright law in the United States, as amended by several later enacted copyright provisions.

khoraComment